딱히 분류되지 않은 것

식물의 이름에 숨겨진 중요한 정보들

허접이 2008. 7. 23. 01:55

식물학자 윤경은 교수와 <우리집 정원 만들기>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식물학자나 원예가라 할지라도 35만 종이 넘는 식물의 이름을 다 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부르는 우리말 이름과 같이 그 지방에서 널리 불리는 이름을 일반명 또는 지방명 이라 한다. 그래서 같은 식물을 두고도 나라와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르는 경우가 많고, 전혀 체계적이지 않은 이름으로 부를 때도 많다. 그래서 체계적으로 식물을 분류하고 누구나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름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필요를 해결해준 사람이 바로 스웨덴의 식물학자인 린네(Carl von Linné, 1707~1778)인데, 그는 식물을 분류하고 이름을 붙이는 체계를 세웠다.

린네는 이명법(二名法)을 주창했고, 현재 국제식물명명규약은 그의 이명법을 이용한다. 이명법은 사람이 성과 이름을 가지듯 식물을 속명과 종명으로 부르는 방법으로,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학명(學名) 표시법이다.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종명은 소문자로 쓰는데, 이탤릭체로 하거나 밑줄을 그어 학명임을 나타내고 끝에는 명명자의 이름을 약자로 표시한다. 예컨대 해당화는  ‘Rosa rugosa Thunb.’, 진달래는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라 쓴다. 그러나 대부분은 명명자의 이름을 빼고 Rosa rugosa’Rhododendron mucronulatum’ 또는 밑줄을 그어 Rosa rugosaRhododendron vucronulatum’으로 간단히 표시한다.

 학명에 쓰이는 용어는 라틴어 어원으로, 속명은 대부분 명사이고 종명은 형용사이다. 그렇게 학명은 마치 한자를 보고 그 특성을 짐작하듯이 각각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해당화의 속명 Rosa는 그리스어의 ‘rhodon(장미)’과 켈트어의 ‘rhodd(붉은. )’에서 유래되었고, 종명인 rugosa주름이 있는이란 뜻이며, 끝의 ‘Thunb.’는 장미를 분류한 스웨덴 학자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의 약자다. 진달래의 속명 Rhododendron은 장미를 뜻하는 그리스어 ‘rhodon’과 수목을 뜻하는 ‘dendron’의 합성어로, 적색 꽃이 피는 나무라는 뜻이다. 종명인 mucronulatum끝이 다소 뾰족 나온 형이란 뜻이며, ‘Turcz.’는 러시아 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투르크자니노프(Nicolai Ttephanovich Turczaninov, 1796~1864)의 약자다.

 속명 중에는 초기 생물학자나 발견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달리아(Dahlia)는 린네의 수제자였던 스웨덴의 식물학자 안드레아 달(AndreaDahl, 1751~1789)을 기념하는 이름이다. 동백(Camellia) 17세기에 마닐라에 살면서 동과(冬瓜) 식물을 수집했던 체코슬로바키아 선교사 케멜(G.J. Kamell)에서 유래했다. 한편 사람 이름이 일반명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포인세티아는 대극과 식물로 식물체에 상처가 나면 하얀 수액이 나오는 성질에 따라 Euphorbia pulcherrima라는 학명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일반명인 포인세티아(poinsettia) 1825년에 멕시코 대사로 있던 포인세트(Piinsette)가 멕시코 원산의 이 식물을 미국으로 들여온 것을 기리기 위해 주어진 이름이다.

 학명에서 두 번째로 표기되는 종명은 식물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색깔, 크기 및 형태, 때로는 자생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외국에서 도입된 식물, 예를 들어 허브와 같은 식물은 대부분 영어 일반명과 함께 학명이 표시된다. 따라서 학명을 알아두는 것은 식물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꽃 시장에서는 가끔 종묘 회사에서 육종하고 붙인 품종명(상품명)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문가들까지 어리둥절하게 만들 때가 있다. 학명은 외국어로 표현되므로 익숙하지 않고 더욱이 라틴어원이라 이해하기가 쉽지 않지만, 뜻을 이해하도록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보다. 학명을 알게 되면 인터셋을 통해 식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필요한 종자를 세계 어는 곳에서나 주문할 수도 있다.

<종명에 포함된 내용>

자생지를 표현하는 명칭

            alpestris(-e) : 낮은 산의, 초본대(草本帶)

            alpines(-a, -um) : 고산생의

            aquaticus(-a, -um) : 수생의

            campestris(-e) : 야생의, 들이나 노지에서 자라는

            martimus(-a, -um) : 바다의, 해안의

            saxatilis(-e) : 바위 겉에서 자라는

            umbrosus(-a, -um) : 음지에서 자라는

 

           ♣ 크기 및 생육 양상을 나타내는 명칭

            columnaris(-e) : 원주형의

            ellippticus : 타원형의

            fastiglatus(-a, -um) : 직립형의

            globularis(-e) : 구형의

            grandis(-e) : (grandiflorus : 큰 꽃의, grandifolius : 큰 잎의)

            nanus(-a, -um) : 키가 작은

            pyramidalis(-e) : 피라미드형의

            repens : 기는 성질(포복형)

 

           ♣ 개화기 등의 계절을 나타내는 명칭

            aestibalis(-e) : 여름의

            autumnalis(-e) : 가을의

            hyemalis(-e) : 겨울의

            vernalis(-e) : 봄의

 

           ♣ 꽃 및 잎의 색을 나타내는 명칭

            albus(-a, -um) : 백색의

            argenteus(-a, -um) : 은백색의

            aureus(-a, -um) : 황금색의

            azureus(-a, -um) : 하늘색의

            erythro~ : 적색의

            purpureus(-a, -um) : 자색의

            ruber(rubra, rubrum) : 적색의

            sempervirens : 상록의

            variegates(-a, -um) : 반문이 있는, 무늬가 있는

 

           ♣ 향기를 나타내는 명칭

            aromaticus(-a, -um) : 방향성의

            foetidus(-a, -um) : 악취가 있는

            fragrans : 방향이 있는

            inodorus(-a, -um) : 향이 없는

            ordoratus(-a, -um) : 향이 있는 

            pungens : 찌르는 듯한

 

           ♣ 지명 특히 원산지를 나타내는 명칭

            amazonicus : 아마존(우림)

            japonicus : 일본의

            koreano-alpinus : 한국 높은 산의

            sinensis, sinicus : 중국의

            virginianus : 버지니아의

 

에고 언제 이런 기호(?)들을 판독 할 수 있을 지...

욕심내어 정리만 해 둡니다. ㅎㅎ

'딱히 분류되지 않은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0) 2009.03.13
폭설  (0) 2008.08.19
CCD 청소법  (0) 2008.02.27
발렌타인 데이  (0) 2008.02.14
알면 더 재미있는 인터넷 용어, 은어정리  (0) 2008.01.17